육아는 멈출 수 없는데
소득은 멈춰버릴까봐 망설였어요.
2025년 5월부터 달라지는 육아휴직 급여,
그 변화가 ‘선택의 여지’가 되어줄 수 있기를 바라며
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.
#1. 첫 3개월, 250만 원이라는 생존선
출근 대신, 아이를 안았다.
그 결정이 한 달 치 고정 지출보다
더 큰 용기를 필요로 했어요.
육아휴직 첫 3개월 급여 인상
통상임금 80%, 상한은 250만 원으로
2025년 5월부터,
육아휴직 첫 3개월 급여 상한이 250만 원으로 인상돼요.
기존 150만 원에서 100만 원이나 오른 수치예요.
급여 계산은 통상임금의 80%를 기준으로 하고,
상한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급돼요.
‘이 정도면 버틸 수 있을까?’라는 고민에
조금 더 현실적인 기준이 생긴 변화예요.
우리가 포기한 건 직장이 아니라, 매달의 안심이었어요
#2. 4개월 이후부터는 80만 원 정액
세 달은 빠르게 지나가요.
그다음이 문제였죠.
복직이 어려운 경우,
급여는 어떻게 되는지 막막했어요.
4~12개월, 누구에게나 80만 원 고정 지급
소득수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
이전에는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됐던 급여가
2025년부터는 정액 80만 원으로 통일돼요.
4개월 차부터 12개월까지,
누구나 같은 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.
다소 적게 느껴질 수 있지만,
예측 가능한 지원이란 점에서 큰 의미가 있어요.
고정된 숫자보다, 고정된 믿음이 더 고마웠어요
#3. 육아휴직 급여, 최소 보장 금액도 확대돼요
“우리는 받을 수 있는 걸까?”
자격조차 애매했던 시절이 있었어요.
그래서 ‘최소’라는 말이
더 크게 다가왔던 거 같아요.
육아휴직 급여, 최저 지급액 인상
기준 미달자도 일정 금액은 보장돼요
2025년 개정안에 따르면
최소 보장 금액도 확대돼요.
통상임금이 매우 낮은 경우에도
1개월 기준 최소 70만 원 선 보장이 가능해졌어요.
비정규직, 단시간 근로자에게는
‘없음’과 ‘적음’의 차이가 너무 컸거든요.
적더라도, 없는 것보단 훨씬 따뜻했어요
#4. 부부가 함께 쓰면 더 많은 지원이 가능해요
“남편이 같이 쉬면 안 돼요?”
그 질문 하나에
모든 균형이 달라졌어요.
부부 동시 육아휴직도 확대
순차 사용 시 보너스 급여 적용
2025년에도 부부가 순차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,
두 번째 사용자는 ‘보너스급여’를 받을 수 있어요.
첫 3개월 동안은 통상임금 100%, 최대 250만 원 지급이에요.
단, 부부가 동시에 휴직하는 경우는 일부 제한이 있으니
사용 순서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해요.
맞벌이 부부라면 전략적으로 사용하면 더 큰 혜택이 생겨요.
우리가 나눈 건 휴직이 아니라, 돌봄의 순서였어요
#5. 1년 안에 나눠 써도 돼요 – 분할 사용 제도
한 번에 쉬는 게 어려운 환경이라면,
‘쪼개 쓰는’ 방법도 있어요.
그래야 현실과 제도가
조금이라도 맞닿거든요.
육아휴직은 1년 내에서 분할 사용 가능
최대 2회까지 나눠 신청할 수 있어요
2025년 기준,
육아휴직은 총 1년 한도 내에서 최대 2회 분할 사용이 가능해요.
예를 들어,
3개월 쓰고 복직 후
다시 9개월 휴직 신청도 가능해요.
직장 상황과 육아 상황을 모두 고려한 유연한 구조예요.
한 번에 쉬진 못했지만, 아이 곁에 두 번은 설 수 있었어요
[요약 정보]
- 첫 3개월 급여: 통상임금 80%, 상한 250만 원
- 4~12개월 급여: 정액 80만 원 지급
- 최소 지급 보장: 통상임금 낮아도 일정 금액 지급
- 부부 육아휴직: 순차 사용 시 보너스급여 적용
- 분할 사용: 1년 이내 2회 분할 가능
육아휴직급여 계산법이 궁금하시다면
2025.05.02 - [[3. 육아·가정 복지 혜택]] - 육아휴직 급여 실수령 계산법 – 2025년 최신 반영 완전 정리
육아휴직 급여 실수령 계산법 – 2025년 최신 반영 완전 정리
아이를 안고 있으면계산기보다 걱정이 먼저 켜져요.‘얼마 받는다’보다 ‘이걸로 가능할까’가 먼저 드는 현실,육아휴직 실수령액,이 글로 가장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 #1. 실수령액, 결국 통장
hhss198384.com
✍️ 글쓴이: 뉴스줍줍러 | 정부지원금 정보 아카이브 운영자
2025년부터 정책 정보에 관심을 갖고
기록을 시작한 초보 블로거입니다.
“누구나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”이
이 블로그의 목표예요.
아직은 SNS도, 구독시스템도 없지만
꾸준히 정리하며 하나씩 채워가는 중입니다.
언젠가 인스타그램이나 뉴스레터로도 찾아갈게요 :)
💬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으로 알려주세요!😊
'[3. 육아·가정 복지 혜택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동급식카드 사용처와 한도, 놓치기 쉬운 정보까지 정리해드려요 (0) | 2025.05.03 |
---|---|
임산부 친환경 꾸러미 지원대상 확인! [신청조건+수령방법 총정리] (1) | 2025.05.02 |
육아휴직 급여 실수령 계산법 – 2025년 최신 반영 완전 정리 (1) | 2025.05.02 |
가정양육수당 vs 어린이집 보육료 차이, 2025년 실전 비교 (0) | 2025.04.30 |
다자녀가구 주거지원제도 완벽 정리! 전세·매입 모두 포함 (0) | 2025.04.30 |